x

사이트맵

이용인 참여
복지관 활동 갤러리 목록
복지관 활동 갤러리
목록
지역사회지원팀 장애인 정책 제안 및 공동 의제 탐색을 위한 주민총회 진행
21-12-13 14:02 658회 0건

성동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지원팀에서는 지난 12월 1일과 12월 3일 2일 동안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지역사회 장애인 및 가족, 장애인 단체 활동가, 장애인 정책에 관심이 있는 지역주민 31명을 모시고, 장애인 정책 제안 및 공동 의제에 대해서 탐색해 볼 수 있는 주민총회를 진행하고, 다양한 실천 방안을 수립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  

  
4718f9b76aafb23b7c05cb475dc4f577_1639370841_0162.jpg
4718f9b76aafb23b7c05cb475dc4f577_1639370895_0204.jpg
 

구분

안건1 

안건2 

안건3 

 우리가 가지고 있는 어려움은?

이동약자에 대한 보호가 필요해요.

-휠체어가 식당에 들어가기 어렵다. 

-도로와 연도의 경계선 턱이 없으면 좋아요.

-우리 주변에는 많은 계단이 있다.

-마을버스는 리프트가 없어요.

-동네 병원에 계단이 많아요.

-가게, 약국 같은 접근성이 큰 곳에는 문 앞까지라도 경계턱이 없으면

-산책하기 어렵다(턱, 계단, 돌길). 



 발달장애인이 갈 곳이 없어요.

-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

-내 마음 표현이 어려워요.

-혼자 병원가기 힘들다.

-체육시설 이용에 제약이 많다.

-장애로 병원치료가 어려워요.

-발달장애인도 일을 할 수 있어요.

-차별이 싫어요.

-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다.

-발달장애인도 사람입니다. 피하지 마세요.

-친구를 만들고 싶어요.

 일상생활 지원이 어려워요.

-병원 진료시 도움이 필요해요.

-병원 다니기 어렵다.

-나 혼자 외출하기 어렵다.

-가정에서 일상생활의 도움이 필요하다. 

-빨래, 반찬 해결이 어렵다.

-생활이 불편하다.





 어려움은 "왜" 생겼을까요?

-사유재산이라 개선이 어렵다.

-도로에 대한 관할이 불분명해 건의가 어렵다.

-반복적인 건의에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.

-도로공사는 진행되지만 장애인을 위한 개선과 반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.

-경계석과 인도의 높이가 다르다.

-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본다.

-장애인을 복지의 수혜자로만 생각한다.

-발달장애 이해교육이 부족하다.

-장애유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.




 

-개인적인 장애

-사회적 문제

-다양한 장애를 포괄하지 않는 부족한 정책

-개별 맞춤형 정책 부족

-장애에 대한 이해와 경험 부족



 

 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?

-구청장님께 바로 건의한다.

-관계자의 체험이 필요하다(스쿠터, 휠체어 등의 체험활동).

-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.


-공교육에서 적극적인 통합교육 실시

-국가 책임제

-발달장애인 맞춤 일자리 창출

-장애당사자와 가족들의 인식개선 

-정책, 제도

-관심, 인식개선(미디어, 비장애인의 관심)

-복지시설 확충

-개인별 맞춤 서비스

 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?

-장애인도 양보가 필요하다.

-마음을 함께할 사람들의 모임을 가져본다.

-시설물의 정확한 관할을 알아내 건의한다.

-모임을 갖기 위한 공간 마련에 대해 건의한다(공동의 관심사를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부족).

-정부예산

-교육전문가 배치

-주변의 관심

-다양한 자조모임

-기관 연대(행사 참여)




-끊임없는 요구(정책 요구)

-정책, 제도의 홍보(실질적인 홍보)

-실질적이고 와 닿는 서비스 필요

-기존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




 해결되면 무엇이 좋아질까요?

-장애인과 교통 약자의 생활이 좋아진다.

-문화생활이 용이해진다(취미생활의 빈도가 높아진다).

-마음이 편안해 진다.

-신체 장애인의 어려움이 해소된다.

-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.

-가족이 행복해진다.

-장애 감수성(이해도)이 높아진다.

-지역사회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다. 


-장애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. 일상에 도움

-삶의 질이 높아진다.

-발전 가능성이 향상된다.


 


제안 안건에 대한 공동 해결을 위해서는 장애인 당사자, 장애인 복지시설, 지역주민, 성동구청 및 성동구의회, 관련 기관이 함께 모색하고, 정기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하여 장애인 정책 및 서비스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   


목록

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유튜브채널 통통라디오
주소 : 04704 서울시 성동구 청계천로 506 성동장애인종합복지관
대표전화 : 02-2290-3100

FAX : 02-2290-3181

Email : omni3100@naver.com

Copyright©Seongdong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ll rights reserved. Designed by 미르 디자인